모바일 게임 삼국지m에 관해서
오늘은 모바일 게임 삼국지m에 관해서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저는 어려서부터 삼국지를 좋아했습니다
초등학교 때 처음 컴퓨터를 갖게 되었을 때 컴퓨터 안에 있었던 게임이
삼국지 3 삼국지 4입니다.
이 게임을 하다가 자연스럽게 삼국지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고
이문열 10권 소설 삼국지 만화 63권 삼국지 또 작가는 기억이 안 나지만
닥치는 대로 삼국지를 읽었던 어렸을 때 기억이 있습니다.
코웨이에서 나왔던 삼국지 게임류들
영걸전 공명전 조조전 삼국지 3,4,5,6,7,8,9,10,11,12,13
그 외 삼국군영전 와룡전 적벽대전 삼국 무쌍 등등
삼국지와 관련된 게임이라면 한 번쯤은 다 접했던 거 같은데요
이 기억들이 커서는 모바일 삼국지 게임으로 이어졌던 거 같습니다.
모바일 삼국지 종류만 수백 가지가 있는데요
물론 전 다해보진 않았습니다.
제가 2년 전쯤에 접하고 나서
지금까지 하고 있는 삼국지 m
이 게임의 장단점에 관해서 말해볼까 합니다.
로그인 화면입니다 관우 운장이 늠름하게 적토마를 타고 있죠?
이게 내정 화면입니다 여기서 건물들을 업그레이드하고 군사를 훈련하죠
이화면은 전투 화면입니다
이건 전체 지도입니다 가운데로 들어갈수록 자원수급이 좋지요
이 게임의 장점
우선 상당히 잘 만들었습니다
바로 윗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중심부인 낙양으로 갈수록 자원이 좋지만 땅은 한정적입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사람들의 갈등을 유발하죠
그래서 전쟁이 일어납니다
2년 동안 우리 서버에서 전쟁이 총 5번 정도 났던 거 같습니다
전쟁에서 지면 책임자들은 거의 서버를 떠났던 거 같아요
전투도 상당히 재밌게 만들었습니다 전략적으로
한 가지 예를 들자면 저희 연맹은 2위 연맹이었습니다
하지만 1위 연맹과 차이가 컸죠
1위 연맹과 3위 4위 5위 연맹이 합쳐서 저희 연맹에게 선전포고를 했습니다
정면 전으론 승산이 없었죠
연맹원들이 힘을 합쳐서 새벽에 게릴라를 하기로 했습니다.
낮시간에는 승산이 없기에 병력을 숨기고 도망 다니고 하다가
새벽에 다들 접속해서 게릴라를 한 달간 했습니다
결과는 저희가 상대의 정전을 받아냈습니다
전 이때 가장 재미있게 즐겼던 시절이지 않나 싶어요
두 번째는 이벤트가 많습니다
매일매일 무언가 이벤트를 합니다
그 이벤트들이 재밌습니다.
다른 게임은 대부분 한 몇 개월 하면 질렸던 거 같은데
삼국지 m은 2년째 재밌게 하고 있습니다.
3번째 장수 모으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물론 제갈량이라던지 주유라던지 관우 마초 이런 장수 들은 과금을 어느 정도 해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장수가 많기 때문에 장수들 모으는 재미도 있더라고요^^
이제 단점에 대해 설명해볼게요
과금 유도를 많이 합니다
뭐 여느 모바일 게임은 안 그러겠냐만은
위에 말씀드렸다시피 금화로밖에 뽑을 수 없는 장수가 있습니다
그 장수들이 아무래도 능력이 좋고요
그러기에 다들 앞다투어 과금을 하지요
평생 게임에 과금 잘 안 하는 저도 아주 조금 했습니다
장수가 너무 갖고 싶거든요
그리고 시간이 많이 뺏깁니다
특히 전쟁이라도 나면 하루 종일 신경이 여기에 쓰여요
라이트 하게 즐기면 상관없겠지만
막상 그게 잘 안되더라고요
지금은 이제 2년 되어가니 시간을 많이 쓰지는 않지만
악마의 게임입니다 ㅋ
그래도 상당히 잘 만든 게임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삼국지m 의 이벤트 중 하나인
설전 군유 답을 올리고
#모바일 게임 삼국지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문제 | 정답 |
수경선생은 누구인가 | 사마휘 |
천공장군 | 장각 |
지공장군 | 장보 |
장료의 자 | 문원 |
정기의 자 | 계연 |
순권과 손책 | 형제 |
손견과 손책 | 부자 |
손권과 보부인 | 부부 |
손상향과 순권 | 오누이 |
유비와 손상향 | 부부 |
제갈량과 황월영 | 부부 |
쌍철극 | 전위 |
쌍고검 | 유비 |
청룡언월도 | 관우 |
장팔사모 | 장비 |
의천검 | 조조 |
방천화극 | 여포 |
조황비전 | 조조 |
적로 | 유비 |
적토 | 관우 |
칠성보도 | 왕윤 |
유비 출생년 | 161 |
조조 출생년 | 155 |
손견 출생년 | 155 |
손책 출생년 | 175 |
손권 출생년 | 182 |
손권이 위나라에 의해 오왕으로 | 221 |
삼국 진나라 통일 | 280 |
동탁 낙양 입성 | 189 |
유비 사망 | 63 |
조조가 관창해를 쓴건 언제 | 207 |
백의도강의 주인공 | 여몽 |
출사료를 던졌지만 죽다 | 제갈량 |
조조가 장지자방 | 순욱 |
유비가 입촉후 누구의 여동생을 아내로 | 오의 |
장판교를 부순 사람 | 장비 |
여몽에게 사별삼일 괄목상간 평내린 인물 | 노숙 |
조조에게 우리집 천리마라고 불린 인물 | 조휴 |
삼국지의 인물 | 진도 |
육손의 아들 | 육항 |
한헌제의 황후 | 조절 |
능통의 아버지를 상해한 인물 | 감녕 |
와룡 | 제갈량 |
봉추 | 방통 |
귀재 | 곽가 |
여포를 세 집안의 노예라고 칭한 인물 | 장비 |
위진 소요진은 오호장군 중 누구 | 장료 |
원소는 도발군 맹주로 추대, 누가 선봉 | 손견 |
위나라의 마지막 황제 | 조환 |
몽중살인 버릇이 인물 | 조조 |
손노반의 첫번째 남편 | 주순 |
단봉안이 있는 인물 | 관우 |
소동파가 깃털 부채와 두건을 쓰고 연기처럼 사라지네라고 한 인물 | 주유 |
설전군유를 통해 승리한 인물 | 제갈량 |
도원 세 영웅중 가장 먼저 죽은 인물 | 관우 |
공성계를 사용한 인물 | 제갈량 |
천하가 나를 버리게 하지 않으리라 | 조조 |
호치 | 허저 |
동탁이 낙양에 입성하도록한 인물 | 원소 |
콩이 솥 속에서 울고 있다 | 조식 |
유비가 생을 마감한 성지 | 백제성 |
십승십패론 | 곽가 |
사승사패론 | 순욱 |
조운의 칠진칠출은 누구를 구하기 위한것 | 유선 |
삼영전여포와 관련 없는 인물 | 마초 |
오관참육장의 주인공 | 관우 |
삼국을 통일한 주인공 | 사마염 |
삼국지중 부인과 병사를 잃은 인물은 | 주유 |
장판파에서 장비의 사자후에 놀라 말에서 떨어져 숨진 인물 | 하후걸 |
주유와 누가 고육계를 사용 | 황개 |
황건군의 수령 | 장각 |
유선의 황후 | 장성채 |
닭뼈의 전고와 아래 중 관계 없는 사람은 | 제갈량 |
약속을 어기고 옥새를 숨긴인물 | 손견 |
남만반란 평정시 제갈량이 칠종칠금했던 수령 | 맹획 |
이름을 들으면 우는 아이도 울음을 그친다 | 장료 |
공개삼분국, 명성팔진도 | 제갈량 |
눈에 화살은 맞은 | 하후돈 |
동작대 건설을 지시한 인물 | 조조 |
조조에게 이호경식, 구호탄랑 계략을 제안한 인물 | 순욱 |
태평청령도를 최초로 발견한 인물 | 우길 |
조조가 주아부의 품격이라고 칭한 인물 | 서황 |
하북쌍웅 중 한명 | 안량 |
유선의 어머니는 | 감부인 |
낙신부에서 낙신은 누구의 아내 | 조비 |
초선차선을 사용한 인물은 | 제갈량 |
사마의가 위나라의 군정대권을 쥔건 누구를 죽인 후 | 조상 |
위나라의 오호장군이 아닌 | 전위 |
위나라의 오호장군이 아닌 | 하후돈 |
중국 4대 미녀는 | 초선 |
백보천양 | 황충 |
완성지전에서 죽은 조조의 아들 | 조앙 |
관도대전에서 조조가 격파한 인물 | 원소 |
조운이 획득한 검 | 청강검 |
윤해격파 | 모성지전 |
조운이 개발한 | 칠탐사반창 |
마속 처형한 이뉴는 | 가정함락 |
조조가 원담을 격파한 전투 | 남피지전 |